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

헷갈리는 단어 <좇다> <쫓다> 뜻 비교하기 좇다와 쫓다는 비슷한 뜻을 지녔지만, 대상이 목표, 행복과 같은 개념일 때에는 , 사람이나 동물과 같은 대상일 경우에는 를 사용해야 합니다. 오늘은 두 단어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알아보기 1. 뜻 좇다는 '목표, 이상, 행복과 같이 관념적인 대상 따위를 추구하다'라는 의미로 사용하는 단어입니다. 그 외 '다른 사람의 말이나 뜻, 혹은 규칙, 관습 따위를 따르다'라는 뜻도 갖고 있습니다. 2. 예문 ① '목표, 이상, 행복 따위를 추구하다'라는 뜻일 경우 - 현실과 동떨어진 이상만을 좇을 경우에 사람들로부터 비난을 받을 수 있다. - 눈앞의 이익을 좇지 말고 항상 먼 미래를 생각해야 한다. - 자신의 평소 꿈을 좇아 회사를 그만두고 연기학원에 다니기 시작했다. ② '남의 말이나 뜻을.. 2022. 2. 6.
넘사벽 뜻 알아보기 넘사벽이란 말을 들어보셨나요? 많이 사용되는 단어이지만 넘사벽이란 말을 듣고 의아해하시는 분들도 많아 오늘은 넘사벽의 뜻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넘사벽 뜻 예상하셨겠지만 '넘을 수 없는 사차원의 벽'의 앞글자 하나씩을 따서 만든 줄임말입니다. 한글과 한자의 조합으로 탄생한 신조어죠. (신조어라고 하기에는 만들어진지 꽤 되었어요. ^^) 넘 : 넘을 수 없는 사(四) : 사차원의 벽(壁) : 벽 경우에 따라서는 '벽'을 생략하여 '넘사'만 사용하기도 합니다. 넘사벽을 사용하는 경우 어떤 대상이 매우 뛰어나서 아무리 노력을 한다 하더라도 따라잡을 수 없거나, 상대가 되지 않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현실적으로 극복하기 불가능한 상황인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내가 아무리 공부를 열심히 해도 미국의 하버드 대.. 2022. 2. 6.
지그시 vs 지긋이 뜻, 차이점 발음이 똑같은 단어인 지그시와 지긋이를 동일한 단어로 알고 사용하시는 분들은 많이 계십니다. 문맥상 의미를 생각하지 않고 사용하면 많은 분들이 실수할 정도로 헷갈리는 단어인데요, 오늘은 지그시와 지긋이의 뜻과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그시 뜻과 예문 1. 뜻 지그시는 행동을 묘사하는 단어로, 다른 동사나 형용사를 꾸며주는 부사로 사용됩니다. '어떤 대상에 대하여 드러나지 않게 슬며시 힘을 주는 모양' 혹은 '어떤 대상에 대해 느낌 또는 감정을 억누르고 조용히 참고 견디는 모양'을 뜻합니다. 2. 예문 ① '어떤 대상에 대해 슬며시 힘을 주는 모양'의 뜻을 표현할 때 - 희석은 애인의 손을 지그시 잡았다. - 눈을 지그시 감고, 생각에 잠기었다. - 지그시 밟다. ② '어떤 대상에 대해 느낌.. 2022. 2. 5.
한창 vs 한참 뜻, 차이점 한창과 한참을 헷갈려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얼핏 보면 같은 글자처럼 보일 정도로 글자가 비슷하고 발음 또한 비슷하기에 벌어지는 일인데요, 오늘은 한창과 한참의 뜻과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창 뜻과 예문 1. 뜻 한창은 시간과 관련된 뜻을 갖고 있습니다. 명사와 부사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명사로 어떤 일이 가장 활기 있고 왕성하게 일어나는 때 또는 어떤 상태가 가장 무르익은 때를 말하고, 부사로는 어떤 일이 가장 활기 있고 왕성하게 일어나는 모양, 또는 어떤 상태가 무르익은 모양을 뜻합니다. 2. 예문 - 식당 안은 한창 사람들로 가득할 시간인데 손님이 별로 없었다. - 벼가 한창 무르익어 고개를 숙였다. - 이렇게 한창인 여름에는 수박 같은 시원한 과일을 먹어야 한다. - 겨울이.. 2022. 2. 5.
반응형